티스토리 뷰

정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방법

허니스 2018. 5. 30. 18:21

평균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는 사실 당장 내일도 어떻게 살지 고민인데 미래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아주 많으실겁니다. 혹은 당장 은퇴를하고 고령자로 접어든 시기에 돈 한푼이라도 소중하실텐데요.





만60세 이상의 주택소유자에게 연금을 지급해주는 주택연금 제도가 있습니다. 이럴경우에는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연금을 받을 수 있는데요. 간단하게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이 가능하답니다. 주택연금 수령액을 다양하게 받을 수도 있는데 계산 방법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집니다. 한 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일단 사이트는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들어가시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이 가능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바로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화면으로 넘어가실수도 있는데요. 안 넘어가신 분들은 주택연금 메뉴의 예상연금조회 버튼을 클릭하시면 계산이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항목이 나옵니다. 주택소유자 생년월일과 배우자 생년월일, 주택구분, 시세검색, 지급방식, 월지급금 지급유형, 월지급금 지급기간, 인출한도설정금액 등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그냥 예상 주택연금 수령액을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지급금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월지급금 지급방식에 따라서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데요. 종신방식과 확정기간방식,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이 있습니다. 종신방식은 월 지급금을 평생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죽을 때까지 받는거죠. 확정기간은 본인이 설정한 기간에 맞춰서 월 지급금을 받는 방식입니다. 보통 10~30년을 설정하십니다. 대출상환방식은 주택담보대출 상환용으로 인출한도(대출한도의 50% 초과 70% 이내) 범위 안에서 일시 찾아 쓴다음 나머지 부분을 평생 매월 연금형태로 지급받는 방식입니다. 우대방식은 부부기준으로 1.5억원 미만의 1주택을 보유한 사람이 종신방식보다 12.7%우대하여 지급받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주택가격은 협약을 체결한 감정평가기업자의 6개월 이내의 평가액을 적용해서 낸 가격이라고 합니다. 월지급금 지급 유형은 정액형과 전후후박형이 있는데요. 정액형은 집값이 하락해도 정해진 금액을 받는 방법이며, 전후후박형은 10년간은 지급금을 많이 받고 11년부터는 월지급금의 70%만 받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을 하기위해 다양한 옵션들이 있는데요.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생각해서 받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복잡하긴 하네요. 오늘도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