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직장 다니시는 분들은 하루하루 버텨내는게 쉽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저도 직장을 다녔고 직장에서 일하는게 힘들면서도 편한 느낌을 이제서야 느끼고 있습니다. 능동적이기보다는 수동적인 성향이 더크기도 한데요. 그래서 직장생활이 오히려 맘편한 것 같기도 합니다. 직장에서 퇴직하실 때나 연봉 계산을 하실 때에 근무일수 계산이 필요한데요.
간단하게 윈도우에서 내장된 계산기를 이용해서 가능합니다. 근무일수 계산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계산기를 실행시키셔야 하는데요. 계산기를 검색하시면 가능합니다. 지금 기능은 윈도우10기준이지만 윈도우 7도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계산기의 화면입니다. 보통 표준 화면으로 되어있는데요. 상단 좌측의 짝대기 세개가 되어있는 메뉴 버튼을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래에서 계산기에 대한 다양한 방식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근무일수 계산을 하려면 [날짜 계산]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들어가시면 날짜 간 차이, 추가 또는 뺀 날이 있는데요.
날짜 간 차이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시작 날짜와 종료날짜를 입력해주시면 자동으로 차이가 계산되는데요. 보통 퇴직날짜를 적어주시면 되겠죠.
저는 2017년 11월 23일부터 2018년 6월 22일로 했는데요. 근무일수 계산으로 하면 211일이 나오네요.
기본 내장프로그램으로도 간단하게 할 수 있네요. 정산을 하거나 날짜 계산을 하실 때 이기능이 유용하게 쓰이셨으면 좋겠네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그 사양체크 권장사양 아니더라도 쾌적하게 (0) | 2018.06.24 |
---|---|
자동차 세금표 배기량 연식에 따라 천차만별 (0) | 2018.06.24 |
컴퓨터 피아노 simple piano 프로그램 사용법 (0) | 2018.06.22 |
띵곡 뜻 띵의 의미 이거네 (0) | 2018.06.22 |
염색약 지우기 옷 피부에 묻었을때 방법 (0) | 2018.06.21 |
댓글